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by detail-info2025 2025. 5. 2.

시각은 '눈'이 아닌 '뇌'의 영역!

“시각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뇌가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지장애가 있는 사람들 역시 눈은 멀쩡해도 세상이 흐릿하고 낯설게 보일 수 있다.”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어제 포스팅을 통해 눈의 시각능력이 뇌의 능력이라는 사실에 주목한 후 그러면 치매환자나 인지장애인들은 혹시 시력이 저하되거나 시각 인지기능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지 함께 체크해보았습니다.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안 보여요"라고 말하는 치매 환자 중 많은 이들의 눈은 사실 구조적으로 건강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방향 감각이 떨어지는 이유는 시각 정보 처리 과정이 '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나 전두측두형 치매 환자들은 뇌의 시각피질(후두엽)과 연관된 영역의 퇴화로 인해 '보는 데 문제가 생기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1. 인간의 시각 시스템: 눈은 센서일 뿐

눈은 빛을 받아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는 센서에 불과합니다. 시신경은 망막을 뚫고 뇌로 연결되며, 이로 인해 '맹점'이라는 정보 공백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맹점을 느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뇌가 이를 자동으로 보완해주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가 보고 있는 선명한 세계는 뇌가 실시간으로 조합하고 해석한 결과입니다.

 

치매 환자의 경우, 이 시각 정보 처리 기능이 손상되면 정상적인 시력이라도 정보 해석에 문제가 생겨 실제로 "보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치매 환자에게 나타나는 대표적 시각 장애

유형 설명
Visual Agnosia (물체 인식 장애) 물체를 볼 수는 있지만 무엇인지 인식하지 못함
Prosopagnosia (안면 인식 장애) 가족, 친구의 얼굴을 구분하지 못함
Visuospatial Impairment (공간 인지 장애) 거리, 방향, 위치를 인식하지 못함
Visual Field Defect (시야 결손) 특정 시야 영역에서 정보가 누락되나 인식하지 못함

 

이러한 증상은 시력 검진만으로는 발견되지 않으며, 뇌기능 평가나 신경심리검사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어려움

✔️ 문 앞에 서서도 문이 어디 있는지 인지하지 못함

✔️ 식사할 때 음식이 눈앞에 있어도 보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함

✔️ 계단, 경사로에서 낙상 위험 증가

✔️ 외출 시 방향을 잃고 길을 헤매는 경우가 많음

이런 시각 인지 장애는 환자 본인의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보호자에게도 큰 부담이 됩니다.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2. 왜 뇌와 눈을 함께 관리해야 할까?

 

시각 장애가 인지 기능 저하를 가속화

✔️ 시야 정보가 불명확해지면 인지적 혼란도 커짐

 

낙상 위험 증가

✔️ 거리·깊이 인식 장애 → 넘어짐 → 골절 → 입원 등

 

심리적 고립감

✔️ 시각 정보의 단절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어렵게 함

 

3. 예방 및 관리 방법

🔴 정기적인 시력 검진 + 뇌 인지 기능 평가 병행

🔴 밝고 단순한 실내 환경 구성 (시야 혼란 줄이기)

🔴 컬러 대조 강한 물체 사용 (예: 검은 식판에 흰 그릇)

🔴 자극 기반 시각 재활 훈련 (시각 주의 훈련, 시선 유도 등)

🔴 가족 교육: 환자의 시각 인지 장애에 대한 이해가 필수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4. 치매 vs 기타 인지장애 환자의 시각 인지 장애 비교

 

구분 치매(알츠하이머형 등) 기타 인지장애(발달성, 외상성 등)
주요 원인 신경퇴행성 질환 (후두엽, 해마 위축 등) 뇌의 구조적 손상, 발달 지연, 뇌졸중, 외상 등
주로 손상되는 부위 후두엽, 측두엽, 시각 피질 전두엽, 측두엽, 대뇌 백질, 시각연합피질 등 다양
대표 증상 물체·얼굴 인식 장애, 공간 방향감각 상실 시각적 주의력 저하, 시공간 구성 능력 부족, 읽기/쓰기 어려움
시력 자체 문제 없음 (눈 구조는 정상) 일부 뇌 손상에 따라 시야결손, 복시 가능성 존재
치료 및 접근 자극 기반 훈련, 시각 재활, 가족 교육 시각인지치료, 작업치료, 학습 보조도구 사용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예시로 알아보는 인지장애별 시각 문제

 

1️⃣ 외상성 뇌손상(TBI) 환자

✔️ 시야 결손(반맹), 복시, 공간 인식 저하

✔️ 복잡한 시각 환경에서 혼란

✔️ 눈의 문제보다는 뇌의 '처리 장애'가 본질

 

2️⃣ 발달성 학습장애(Dyslexia 등)

✔️ 단어를 제대로 '읽지 못함'

✔️ 시각은 정상이지만 뇌의 해독과정에서 오류

✔️ 문자 시각 정보의 인지적 통합에 어려움

 

3️⃣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 시각 자극에 과민/둔감 반응

✔️ 시선 맞춤 어려움, 얼굴 인식·감정 해석 장애

✔️ 복잡한 시각 정보에 대한 처리 및 필터링 능력 부족

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치매 환자 및 기타 인지 장애인의 시각 장애와 그 이유

 

4. 핵심 요약

 

시각은 눈이 아닌 '뇌'에서 완성됩니다.

 

치매 환자에게 '보이지 않음'은 시각 인지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단순 시력 검진만으로는 부족하며, 뇌 건강과 함께 종합적 평가가 필요합니다.

인지장애인도 ‘눈’이 아닌 ‘뇌의 시각 해석 기능’에 문제가 있어 시각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치매는 퇴행성 손상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시각 장애가 발생되는 것이며,  발달성·외상성 인지장애는 손상 부위와 시기에 따라 다양한 시각 장애가 발생할 수 있게 됩니다. 뇌의 손상은 곧 시각 장애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인체의 신비는 정말 경이로울 지경입니다. 

 

 

뇌와 눈의 놀라운 협업! 우리가 보는 또렷한 세상은 뇌가 보여주는 것!

 

뇌와 눈의 놀라운 협업! 우리가 보는 또렷한 세상은 뇌가 보여주는 것!

“보는 건 눈이 아니라 뇌다.” 이런 말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저는 예전에 라식수술을 받은 후 거의 6개월동안 술을 마시면 1시간 정도만에 너무 졸려서 술자리에서 엎어져 잠깐씩 자야했던 기

js.detail-info.kr

 

조기 치매란? 조기 치매 자가 진단 및 무료 검사 안내

 

조기 치매란? 조기 치매 자가 진단 및 무료 검사 안내

의학과 문명의 발전으로 우리는 이제 100세 시대를 내다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병장수한다는 우스개 소리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질병은 발생하므로 최대한 건강을 오래 유지

js.detail-info.kr

 

두뇌 건강을 위한 필수 영양소와 브레인 푸드

 

두뇌 건강을 위한 필수 영양소와 브레인 푸드

1. 두뇌 건강이 왜 중요할까?몸과 마음이 오래도록 젊음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오고 있다면, 특히 두뇌의 건강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마음 건강과 두뇌의 건강은 또 다른 이야기가

js.detail-inf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