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완전 정리 끝! feat. 국민행복카드

by detail-info2025 2025. 4. 17.

 

2025년 중증환자 의료비 지원금 신청과 관련한 포스팅을 하면서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4인 가족 기준 기준 중위소득 200% 이하와 같은 단어들을 반복적으로 접했습니다. 간단하게 기준 중위소득 개념 정리만으로 가볍게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말이 이해는 되었지만, 보다 상세하게 이 기준 중위소득으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의료복지혜택들을 놓치고 있는건 아닌지 궁금하시지요? 분명 놓치고 있는 의료복지혜택이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기준 중위소득이라는 단어가 정부 지원사업이나 복지제도 신청 시, 또 최근 연금과 관련해서도 끊임없이 회자되고 있지만 정확한 기준 중위소득 100%의 개념이 어려울 때, 아울러 내 소득과 비교해서 나의 혜택 계산이 헷갈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겠습니다. 

 


오늘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가 무엇인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특히 의료복지혜택은 총정리를 포함해서  '복지로' 사이트나 '국민행복카드'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빠르고,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이란?

 

한마디로 정의하면 기준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고시하는 전국 가구소득의 중간값!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딱 가운데 있는 소득 수준!  →  기준값+중간값=기준이 되는 중간 순위의 소득! 입니다. 

 

그러므로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라고 말하면 딱 중간 순위의 소득 이하부터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0%라면 중위소득의 2배 이하까지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기준은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각종 복지제도의 대상자를 선정할 때  '소득기준'으로 활용하므로 반드시 잘 알고 계셔야 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월 소득 기준)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기준 중위소득 150% 예시 기준 중위소득 200% 예시
1인 가구 2,362,000원 약 3,543,000원 약 4,724,000원
2인 가구 3,943,000원 약 5,914,500원 약 7,886,000원
3인 가구 5,054,000원 약 7,581,000원 약 10,108,000원
4인 가구 6,122,000원 약 9,183,000원 약 12,244,000원

 

🔹(예시) 4인 가족의 월소득이 600만 원 이하라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입니다.
→ 이 경우 다양한 정부 복지사업에 신청 자격이 생기게 됩니다! 

 

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2. 어떤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 복지 혜택 

🔹 기준 중위소득 100~200% 이하 구간은 다음과 같은 복지제도 수급 기준으로 쓰입니다.

구분혜택 내용 소득기준 적용 범위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생계비 지급, 전액 본인 부담 의료비 지원 등 중위소득 30~50% 이하
의료급여 진료비, 약값 지원 100% 이하 또는 차상위계층
교육급여 초·중·고 학생 교복비, 급식비, 학용품비 등 지원 50~60% 이하
청년 내일저축계좌 매월 저축 시 정부 매칭 지원 (10~30만 원) 100% 이하 (청년 한정)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간병 서비스, 산후도우미 비용 지원 150~200% 이하
국민행복카드 임신·출산·육아 관련 의료비 및 보육료 바우처 제공 소득 구간별 차등 지급

 

 복지 자격 조회는 어디서?

🔴  복지로

복지로 바로가기

 

 🔹 [모의계산] 메뉴에서 → 가구원 수, 소득 입력 시 복지 자격 여부 확인 가능

 🔹 각종 신청도 온라인에서 가능 (의료비 지원, 임신 출산 바우처 등)

 

🔴  국민행복카드

 

🔹하나카드, BC카드, 삼성카드 등 발급 가능

🔹 임신·출산 지원금, 육아 바우처, 보육료, 산후조리원 이용 등에 활용

🔹 소득 구간 따라 지원금 차등: 최대 100만 원 이상 지원

🔹 보건복지부 국민행복카드 페이지에서 자세한 안내 확인 가능


보건복지부 국민행복카드 바로가기

 

 

3. 기준 중위소득을 건강보험료로 확인하는 방법

 

대부분의 복지제도에서는 가구의 소득 수준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간접 판단합니다.
소득·재산을 직접 조사하지 않고, 매월 납부하는 건강보험료만으로 판단이 가능해 간단하고 빠르게 자격 확인이 가능합니다. 

 

 

✅ 건강보험료 기준표 (2025년 예시, 직장가입자 기준)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건강보험료(직장가입자)
1인 가구 2,362,000원 약 80,000원
2인 가구 3,943,000원 약 136,000원
3인 가구 5,054,000원 약 174,000원
4인 가구 6,122,000원 약 210,000원
5인 가구 7,162,000원 약 244,000원

 

✔️ 지역가입자(자영업자)는 재산·자동차 등에 따라 보험료가 다르게 산정되므로 복지로 모의계산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문의가 가장 정확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건강보험료로 보는 복지 혜택 예시

 

🔹 청년내일저축계좌: 가구원 수별 건강보험료가 기준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중위소득 150% 이하 → 직장가입자 기준 건강보험료 조건 충족 시 신청

🔹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의료급여 등은 중위소득 30~50% 이하 (건강보험료 매우 낮은 수준)

 

 

✅ 나의 건강보험료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국민건강보험공단 바로가기

 

 

🔹 공인인증서(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 보험료 조회 가능

 

🔴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에서도 확인 가능

 🔹 가입자별 납부 내역, 본인부담금, 직장/지역 구분 확인

 

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 빠르게 자격 확인하고 싶다면?

🔴 복지로 모의계산을 통해 가족 수, 건강보험료 입력만으로  어떤 복지제도를 받을 수 있는지 자동 계산!

 

4.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  기준중위소득의 개념 요약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란 → 전체 가구 중 '소득 하위 50%'에 해당하는 가구

🔹 이 기준을 통해 다양한 복지 제도의 대상 여부가 결정

🔹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 가능

🔹 국민행복카드를 활용하면 출산·보육 관련 지원까지 받을 수 있음

구분 기준 중위소득 100% 확인법
기준 방식 가구 전체 소득 vs. 중위값
간편 확인법 건강보험료 납부액으로 환산하여 적용
확인 경로 국민건강보험공단 / 복지로 모의계산
추천 활용처 청년복지, 산모·육아 바우처, 의료비 지원 등

 

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기준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  기준중위소득 기준 의료복지혜택 총정리

제도지원 대상 소득기준 
재난적의료비/중증질환자지원 입원·수술·중증질환자 기준 중위소득 100~200% 이하
희귀질환/암환자 치료비 지원 저소득 암/희귀질환자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산정특례 암, 희귀, 중증질환자 소득 무관, 질병 진단 시 등록
임플란트·틀니 지원 만 65세 이상 소득 무관
기초생활·차상위 의료급여 저소득층 기준 중위소득 30~50% 이하
산모·고위험임산부 지원 출산 가정 기준 중위소득 150~180% 이하
장애인 보장구·의료비 지원 등록장애인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또는 기초수급자

 

 

2025년 중증환자 의료비 지원 vs. 산정특례 바로 알기!

 

2025년 중증환자 의료비 지원 vs. 산정특례 바로 알기!

앞서 다양한 의료비 지원제도들에 대해 꾸준히 업데이트 해오고 있는데요, 오늘은 중증환자의 의료비 지원제도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중증환자의 의료비 지원제도와 산

js.detail-info.kr

임플란트 의료보험 적용 대상 및 가격, 임플란트와 틀니 비교 및 추천

 

임플란트 의료보험 적용 대상 및 가격, 임플란트와 틀니 비교 및 추천

치아 건강은 전신 건강과 직결됩니다. 특히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 저작능력 감소는 물론, 영양 섭취와 소화에 영향을 미치고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때 선택할 수 있는

js.detail-info.kr

재난적의료비(정부지원금) 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 바로가기!

 

재난적의료비(정부지원금) 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 바로가기!

건강한 먹거리, 건강한 생각이 건강한 몸을 지배한다는 사실을 알지만 실제로 실천하는 것은 또 쉽지 않습니다. 회식 자리가 있는 저녁, 피곤한 일상을 핑계로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게 되기

js.detail-inf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