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난자 보조생식술 주제에 이어서 이번에는 임신을 위한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여성의 사회 진출과 1인가구의 증가, 늦은 결혼과 출산 혹은 딩크족과 싱크족 등 사회구성원의 형태가 참으로 다양해졌습니다.
이러한 최근의 트렌드 추이를 지켜본 정부가 내놓은 다양한 임신출산 독려를 위한 복지혜택이 있어 이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또 지금은 출산을 원치 않다가 55세에 출산을 원하게 될 수도 있으니 일단 검사도 받아보고 난자도 얼려놓는 옵션, 저는 조심스럽게 내향적으로 소심하게 추천은 드려봅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20~49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생식 건강 검진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결혼 여부나 자녀 유무와 관계없이 신청할 수 있으며, 난임 예방 및 조기 발견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1.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대상
✅ 연령: 20세 이상 49세 이하의 남녀
✅ 혼인 여부: 무관 (미혼, 기혼 모두 가능)
✅ 국적
✔️ 내국인: 제한 없음
✔️ 외국인: 내국인 배우자와 혼인관계(또는 혼인예정)인 경우 지원 가능
✅ 지원 횟수: 연령대별로 최대 3회까지 지원
✔️ 29세 이하: 1회
✔️ 30~34세: 1회
✔️ 35~49세: 1회
2.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내용
구분 | 검사항목 | 최대지원금액 |
여성 | - 난소기능검사(AMH) - 부인과 초음파(자궁, 난소 등) |
13만 원 |
남성 | -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 5만 원 |
※ 실제 검사 비용이 지원금액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은 본인 부담입니다.
3.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신청 방법
🔴 신청
✔️ 온라인 신청: e-보건소에서 신청
✔️ 방문 신청: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하여 신청
🔴 검사의뢰서 발급
✔️ 신청 후 5일 이내(주말 및 공휴일 제외)에 검사의뢰서 발급
🔴 검사 및 결과 상담
✔️ 검사의뢰서 발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지정 의료기관에서 검사 실시
✔️ 검사 결과에 대한 상담 진행
🔴 검사비 청구
✔️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검사비 청구
🔴 청구 방법
✔️ 온라인 청구: e보건소에서 서류 제출
✔️ 방문 청구: 관할 보건소에 서류 제출
🔴 검사비 지급:
✔️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검사비 지급
4. 신청용 제출 서류
🔴 공통 제출 서류
✔️ 신청서
✔️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 주민등록등본 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 외국인 신청자 추가 제출 서류
✔️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 또는 국내거소신고사실증명서
✔️ 내국인 배우자의 주민등록등본 또는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동의서
✔️ 혼인관계증명서, 청첩장, 사실혼 확인보증서 등 혼인 증빙서류 (혼인관계가 주민등록등본상 확인되지 않는 경우)
🔴 청구 시 제출 서류
✔️ 청구서
✔️ 외래 진료비 계산서 및 영수증
✔️ 진료비 세부산정내역서
✔️ 본인 명의의 통장 사본
🔴 청구 시 제출 방법
✔️ 관할 보건소 방문
✔️ 온라인 e-보건소 pdf, jpg 형식의 파일 제출
5.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신청 관련 유의사항
✔️ 검사의뢰서 발급 후 3개월 이내에 검사를 완료해야 합니다.
✔️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검사비를 청구해야 합니다.
✔️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검사비가 지급됩니다.
✔️ 온라인 신청 시에는 일부 서류 제출이 생략될 수 있으나, 정확한 사항은 신청 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참고 사항
1️⃣ 지정 의료기관에서만 검사가 가능합니다. 지정 의료기관 리스트는 아래 버튼으로 확인가능합니다.
2️⃣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신청자의 고유식별정보는 관련 법령에 따라 수집 및 이용됩니다.
3️⃣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임신을 계획 중인 분들 및 내가 원하는 임신 계획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냉동난자 보존 계획이 있는 분들도 생식 건강을 미리 점검하여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대비하는데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정부지원사업도 다시 한 번 살펴보시고, 그 밖에도 다양한 정부의 의료지원혜택이 있으니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정부지원사업(2025년 최신 정보 기준)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정부지원사업(2025년 최신 정보 기준)
최근 한국사회가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결혼은 왜? 애는 왜? 몇 살인데?' 와 같은 무자비하게 공격적인 질문들이 무례하다는 것을 이제는 아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된 것 같습니다. 공감하
js.detail-info.kr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무료 접종부터 접종알림까지 원스탑서비스! (12) | 2025.04.27 |
---|---|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정부지원사업(2025년 최신 정보 기준) (62) | 2025.04.24 |
종합건강검진 시 의사들이 뽑은 연령대별 "추가 건강검진 항목" (70) | 2025.04.22 |
식품안전기준과 식품 안전관리 인증기준(HACCP)이란? (45) | 2025.04.21 |
마데카솔/마데카솔겔 성분효능과 가격! 화장품+마데카(?)=탕후루광! (58) | 2025.04.18 |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의료복지혜택 완전 정리 끝! feat. 국민행복카드 (47) | 2025.04.17 |
2025년 중증환자 의료비 지원 vs. 산정특례 바로 알기! (47) | 2025.04.16 |
소염진통제와 항생제, 진통제와 스테로이드제 종류와 부작용 총정리 (38) | 2025.04.14 |